12 KiB
		
	
	
	
	
	
	
	
			
		
		
	
	
			12 KiB
		
	
	
	
	
	
	
	
Bio Backend
기술 스택
- Framework: Spring Boot
 - Database: PostgreSQL
 - ORM: Spring Data JPA + QueryDSL
 - Security: Spring Security + JWT
 - Build Tool: Gradle
 - Container: Docker + Kubernetes
 - API Documentation: Swagger (SpringDoc OpenAPI)
 
개발 가이드
1. 프로젝트 구조
src/main/java/com/bio/bio_backend/
├── domain/                    # 도메인별 패키지
│   └── base/                 # 기본 도메인
│       └── member/           # 회원 도메인
│           ├── controller/    # API 엔드포인트
│           ├── service/       # 비즈니스 로직
│           ├── repository/    # 데이터 접근
│           ├── entity/        # JPA 엔티티
│           ├── dto/          # 데이터 전송 객체
│           ├── mapper/       # MapStruct 매퍼
│           └── enums/        # 도메인 열거형
├── global/                    # 공통 설정
│   ├── config/               # 설정 클래스
│   ├── security/             # 보안 설정
│   ├── exception/            # 예외 처리
│   ├── aop/                  # AOP 로깅
│   ├── filter/               # HTTP 로깅 필터
│   ├── utils/                # 유틸리티
│   ├── constants/            # 상수 정의
│   ├── dto/                  # 공통 DTO
│   ├── entity/               # 공통 엔티티
│   └── annotation/           # 커스텀 어노테이션
├── BioBackendApplication.java
└── ServletInitializer.java
2. API 응답 표준화 (ApiResponseDto)
응답 구조
모든 API 응답은 ApiResponseDto<T> 형태로 표준화되어 있습니다.
public class ApiResponseDto<T> {
    private boolean success;    // 성공/실패 여부 (true/false)
    private int code;           // HTTP 상태 코드
    private String message;     // 응답 메시지 (ApiResponseCode enum 값)
    private String description; // 응답 설명
    private T data;            // 실제 데이터 (제네릭 타입)
}
응답 예시
성공 응답 (201 Created)
{
  "success": true,
  "code": 201,
  "message": "COMMON_SUCCESS_CREATED",
  "description": "Created successfully",
  "data": {
    "seq": 1,
    "userId": "user123",
    "name": "홍길동"
  }
}
실패 응답 (409 Conflict)
{
  "success": false,
  "code": 409,
  "message": "USER_ID_DUPLICATE",
  "description": "User ID already exists"
}
사용 방법
Controller에서 응답 생성
@PostMapping("/members")
public ResponseEntity<ApiResponseDto<CreateMemberResponseDto>> createMember(@RequestBody CreateMemberRequestDto requestDto) {
    // ... 비즈니스 로직 ...
    // 성공 응답
    ApiResponseDto<CreateMemberResponseDto> apiResponse =
        ApiResponseDto.success(ApiResponseCode.COMMON_SUCCESS_CREATED, responseDto);
    return ResponseEntity.status(HttpStatus.CREATED).body(apiResponse);
}
공용 응답 코드 사용
// ApiResponseCode.java
public enum ApiResponseCode {
    // 공용 성공 코드
    COMMON_SUCCESS(HttpStatus.OK.value(), "요청 성공"),
    COMMON_SUCCESS_CREATED(HttpStatus.CREATED.value(), "성공적으로 생성되었습니다"),
    COMMON_SUCCESS_UPDATED(HttpStatus.OK.value(), "성공적으로 수정되었습니다"),
    COMMON_SUCCESS_DELETED(HttpStatus.OK.value(), "성공적으로 삭제되었습니다"),
    COMMON_SUCCESS_RETRIEVED(HttpStatus.OK.value(), "성공적으로 조회되었습니다"),
    // 공용 오류 코드
    COMMON_BAD_REQUEST(HttpStatus.BAD_REQUEST.value(), "필수 요청 본문이 누락되었거나 오류가 발생했습니다"),
    COMMON_UNAUTHORIZED(HttpStatus.UNAUTHORIZED.value(), "인증에 실패했습니다"),
    COMMON_FORBIDDEN(HttpStatus.FORBIDDEN.value(), "접근이 거부되었습니다"),
    COMMON_NOT_FOUND(HttpStatus.NOT_FOUND.value(), "리소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"),
    COMMON_CONFLICT(HttpStatus.CONFLICT.value(), "충돌이 발생했습니다"),
    COMMON_INTERNAL_SERVER_ERROR(HttpStatus.INTERNAL_SERVER_ERROR.value(), "서버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"),
    // 사용자 관련 코드
    USER_ID_DUPLICATE(HttpStatus.CONFLICT.value(), "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ID입니다"),
    USER_NOT_FOUND(HttpStatus.UNAUTHORIZED.value(), "사용자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인증에 실패했습니다"),
    USER_PASSWORD_INVALID(HttpStatus.UNAUTHORIZED.value(), "비밀번호가 올바르지 않습니다")
}
핵심 규칙
- 모든 API 응답: 
ApiResponseDto<T>로 감싸서 반환 - 공용 응답 코드: 
COMMON_접두사로 시작하는 범용 코드 사용 - 일관된 구조: 
success,code,message,description,data필드로 표준화 - 성공/실패 구분: 
success필드로 명확한 성공/실패 여부 전달 - 제네릭 활용: 
<T>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타입 지원 
3. JWT 인증 시스템
토큰 구성
- Access Token: 15분 (900,000ms) - API 요청 시 사용
 - Refresh Token: 7일 (604,800,000ms) - 쿠키에 저장, 자동 갱신
 
자동 토큰 갱신
모든 API 요청마다 자동으로 처리됩니다:
- Access Token 유효: 정상 요청 처리
 - Access Token 만료: Refresh Token으로 자동 갱신
 - 새 Access Token 발급: 응답 헤더에 자동 설정
 - Refresh Token 갱신: 보안을 위해 매번 새로운 토큰 발급
 
주요 컴포넌트
JwtTokenIssuanceFilter: 로그인 시 토큰 발급JwtTokenValidationFilter: 요청마다 토큰 검증 및 갱신JwtUtils: 토큰 생성, 검증, 갱신 유틸리티
4. API 문서화 (Swagger)
Swagger UI 접속
- URL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swagger-ui.html - API Docs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pi-docs 
5. 시스템 모니터링 (Actuator)
Health 체크
- 기본 Health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ctuator/health - Readiness Probe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ctuator/health/readiness - Liveness Probe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ctuator/health/liveness 
시스템 정보
- 애플리케이션 정보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ctuator/info - 환경 설정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ctuator/env - 설정 속성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ctuator/configprops - 메트릭: 
http://localhost:8080/service/actuator/metrics 
주요 어노테이션
@Tag(name = "Member", description = "회원 관리 API")
@Operation(summary = "회원 가입", description = "새로운 회원을 등록합니다.")
@ApiResponses(value = {
    @ApiResponse(responseCode = "201", description = "회원 가입 성공"),
    @ApiResponse(responseCode = "400", description = "잘못된 요청 데이터",
                content = @Content(schema = @Schema(implementation = ApiResponseDto.class))),
    @ApiResponse(responseCode = "409", description = "중복된 사용자 정보",
                content = @Content(schema = @Schema(implementation = ApiResponseDto.class)))
})
설정 파일
- SwaggerConfig.java: OpenAPI 기본 정보 설정
 - application.properties: Swagger UI 커스터마이징
 
6. 트랜잭션 관리
기본 설정
@Service
@Transactional(readOnly = true)  // 클래스 레벨: 읽기 전용 기본값
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{
    // 읽기 전용 메서드 (별도 어노테이션 불필요)
    public MemberDto selectMember(long seq) { ... }
    // 쓰기 작업 메서드 (개별 @Transactional 적용)
    @Transactional
    public MemberDto createMember(MemberDto dto) { ... }
}
핵심 규칙
- 클래스 레벨: 
@Transactional(readOnly = true)기본 설정 - 메서드별: 데이터 수정 시에만 
@Transactional개별 적용 - 설정: 
spring.jpa.open-in-view=false(성능 최적화) 
7. 오류 등록 및 사용
오류 코드 등록
// ApiResponseCode.java
public enum ApiResponseCode {
    USER_ID_DUPLICATE(HttpStatus.CONFLICT.value(), "User ID already exists"),
}
오류 사용 방법
// Service에서 예외 발생
throw new ApiException(ApiResponseCode.USER_ID_DUPLICATE);
// Controller에서 예외 처리 (자동)
// GlobalExceptionHandler가 ApiException을 잡아서 응답 변환
핵심 규칙
- 오류 코드: 
ApiResponseCodeenum에 모든 오류 정의 - 예외 클래스: 
ApiException으로 비즈니스 로직 예외 처리 - 자동 처리: 
GlobalExceptionHandler가 일관된 응답 형태로 변환 
8. 로깅 시스템
@LogExecution 어노테이션 사용법
메서드 실행 로깅을 위한 필수 어노테이션입니다.
기본 사용법
@LogExecution("회원 등록")
@PostMapping("/register")
public ResponseEntity<ApiResponseDto<CreateMemberResponseDto>> createMember(@RequestBody CreateMemberRequestDto requestDto) {
    // 메서드 실행 시 자동으로 로그 출력
}
로그 출력 예시
메서드 시작 시:
[START] 회원 등록 | 호출경로: MemberController.createMember | 사용자: 고명빈(kmbin92)
메서드 성공 시:
[SUCCESS] 회원 등록 | 호출경로: MemberController.createMember | 사용자: 고명빈(kmbin92) | 시간: 200ms
메서드 실패 시:
[FAILED] 회원 등록 | 호출경로: MemberController.createMember | 사용자: 고명빈(kmbin92) | 시간: 23ms | 오류: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ID입니다
어노테이션 설정
@LogExecution("사용자 정보 조회")
public UserDto getUserInfo() { }
@LogExecution("주문 처리")
public OrderDto processOrder() { }
로깅 시스템 구성
- MethodExecutionLoggingAspect: 메서드 실행 로깅 (AOP)
 - HttpLoggingFilter: HTTP 요청/응답 로깅 (필터)
 - logback-spring.xml: 로그 파일 관리 및 설정
 
중요: @LogExecution 어노테이션이 없으면 메서드 실행 로그가 출력되지 않습니다
9. MapStruct
매퍼 인터페이스
@Mapper(componentModel = "spring")
public interface MemberMapper {
    MemberDto toDto(Member member);
    Member toEntity(MemberDto dto);
}
사용 예시
// Entity → DTO
MemberDto dto = memberMapper.toDto(member);
// DTO → Entity
Member entity = memberMapper.toEntity(dto);
자동 생성: 컴파일 시 MemberMapperImpl 구현체 생성
10. BaseEntity 상속
모든 엔티티는 BaseEntity 상속을 원칙으로 합니다.
자동 생성 필드
- OID: 
@PrePersist에서 자동 생성 (고유 식별자) - 생성일시: 
@CreatedDate로 자동 설정 - 수정일시: 
@LastModifiedDate로 자동 갱신 - 생성자/수정자 OID: 사용자 추적용
 
사용 예시
@Entity
@Table(name = "st_members")
public class Member extends BaseEntity {
    // OID, 생성일시, 수정일시 등이 자동으로 관리됨
    private String userId;
    private String name;
}
11. DTO 네이밍 규칙
기본 원칙
- API 계층: 
Dto접미사 유지 - Service 계층: 역할에 따라 
Dto접미사 결정 
사용 예시
// API 계층 (Dto 유지)
CreateMemberRequestDto, GetMemberResponseDto
// Service 계층 - 비즈니스 핵심 (Dto 유지)
MemberDto
// Service 계층 - 내부 전달 (Dto 제거)
MemberSearchCondition
핵심 규칙
- API 노출: 
Dto유지 - 비즈니스 핵심: 
Dto유지 - 내부 전달: 
Dto제거 
12. 데이터베이스 스키마
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조는 ddl/schema_entity.sql에 정의되어 있습니다.
스키마 파일
- 위치: 
ddl/schema_entity.sql - 내용: 모든 엔티티 테이블의 CREATE TABLE DDL 스크립트
 
초기화 스크립트
- 위치: 
src/main/resources/schema_initial.sql - 내용: 서버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초기화 스크립트 (예: shedlock 테이블 등)
 
사용 방법
- 자동 생성: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
schema_entity.sql로 엔티티 테이블 자동 생성 - 초기화: 서버 부팅 시 
schema_initial.sql로 시스템 테이블 자동 생성 - 설정: 
spring.jpa.hibernate.ddl-auto=none으로 Hibernate 자동 스키마 생성 비활성화